728x90
이전에도 얼핏 레디스라는 용어를 들어본 적이 있었는데, 오늘 우연히 또한번 Redis에 대해서 듣게 되어 정리를 해서 알아두려고 한다.
결론부터 말하면 Redis는 key:value 형식의 NoSQL DB이다.
Redis는 쉽게 생각해서 소스 내에 위치한 자그마한 DataBase라고 생각해도 될 것 같다.
소스 내에 존재하는 DB가 있다고 생각해보면 IO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고 그만큼 비용과 시간을 아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기존의 RDBMS(관계형 데이터 베이스)와 무슨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NoSQL과 RDBMS의 차이에 대해서 정리해둔 표를 가져왔다.
NoSQL | RDBMS | |
적합한 환경 : |
|
|
시나리오 : |
|
|
규모 : |
|
|
데이터모델 : |
|
|
[출처: Microsoft Azure]
Redis는 NoSQL중에서도 key-value 형태로 데이터를 유지하는 In-Memory DB인데, 주로 스프링부트에서 세션관리하는데 사용한다고 한다.
자세한 사용법은 다음에 실제로 사용할 일이 생기면 다시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참고할 문헌 : https://coding-start.tistory.com/126)
728x90
'Back-end > 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C)L : 데이터 추출, 변환, (정제,) 적재 (0) | 2023.01.0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