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nt-end/js-clean coding5 제 41강 Shorthand Properties, Concise Method : 쉽게 작성하기 ES2015+ 부터 적용되는 문법 중 코드(객체)를 작성하는데 있어서 편리한 문법이 있다. 사실 많이 사용중이고 자주 사용중이어서 개념자체는 이해를 하고 있었지만 해당 문법을 지칭하는 용어를 몰랐기에 포스팅한다. 먼저 Shorthand Properties는 객체가 가지는 key의 이름과 value가 될 변수의 이름이 동일하면 key : value 형식으로 적지 않아도 JS가 알아서 매핑하여 넣어주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사용이 가능하다. const name = 'kj'; const nickName = 'ssombba'; const obj = { 'name': name, 'nickName': nickName, } const objWithShorthand = { name, nickName, .. 2023. 2. 20. 제 20강 값식문 값 : 프로그램이 조작할 수 있는 entity를 표현한 것. => 문자, 숫자, boolean 등의 여러가지 타입으로 표현될 수 있음. 식 : 평가를 통해 값을 도출해내는 표현식 (ex 1 + 1, 'foo' + bar, foo / bar 등) 문 : if문, case문, 반복문 과 같이 어떠한 값으로 귀결되는 것이 아닌, 어떠한 행동(기능)을 하도록 명시해둔 것. => 값이 들어가야 하는 부분에는 들어갈 수 없으나 즉시실행함수 등으로 만든다면 넣을 수 있음. => 보기좋도록 고차함수로 고치는 것이 더 좋음. 2023. 1. 6. 제 14강 isNaN 타입 검사를 할 때 typeof 를 많이 쓰지만 숫자의 경우 typeof만을 사용하여 타입 검사를 하게 된다면 한계점이 있기 때문에 isNaN이라는 메서드를 이용하여 검사하는 것을 추천한다. 하지만 윈도우에 붙어있는 isNaN 메서드의 경우에는 오류가 있기 때문에 숫자에 대해서 타입체킹을 하기 위해서는 Number.isNaN() 을 이용하여 타입체킹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윈도우의 isNaN은 느슨한 검사 Number.isNaN은 엄격한 검사 (ES2015 부터 사용) * js에서 표현할 수 있는 정수 숫자의 최대값 = Number.MAX_SAFE_INTEGER * js는 IEEE754 표준을 이용해서 부동소수점을 표현함. https://ko.wikipedia.org/wiki/IEEE_754 2022. 2. 5. 제 13강 형변환 주의하기 "a" + 123 // 숫자와 문자열의 결합(+) => 문자열 !!"문자열" => true // 비어있지 않은 문자열을 boolean 타입으로 형변환 !!"" => false // 비어있는 문자열을 boolean 타입으로 형변환 parseInt("9.999", 10); => 9 // 문자열을 숫자형으로 형변환 (2번째 인자는 몇 진수로 표현할 것인지) 위의 형변환들을 보면 명시적인 변환과 암묵적인 변환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parseInt가 명시적, 나머지가 묵시적) 명시적 형변환은 개발자가 명시해준 것이기 때문에 다른 개발자들이 보았을 때도 명확하게 형변환을 하려한다는 의도를 쉽게 알수있다. 반면 묵시적 형변환은 JS Engine이 판단하여 형변환을 하기 때문에 개발자가 의도한대로 형변환이 이.. 2022. 2. 5.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