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ck-end/Docker4

Docker : 도커란 무엇일까? [2/2] 도커의 작동방식 이해하기 도커는 컨테이너 기반의 가상화 도구이다. 리눅스 커널의 기술인 LXC(Linux Container) 기반으로 이루어진 기술로 다음의 리눅스 커널의 기능을 사용하여 만들어졌다. - chroot: 파일 시스템을 격리 - namespace: 프로세스 격리 - cgroup: 하드웨어 자원 격리 그래서 보통 윈도우에서 도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을 이용하여 윈도우에 리눅스를 올린 상태로 사용한다. 하지만 앞의 글에서 설명했던 Hyper-V 등을 이용하면 윈도우에 Hypervisor를 올려서 사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Client - Daemon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CLI 명령어 등) Daemon - Docke.. 2023. 4. 10.
Docker : 도커란 무엇일까? [1/2] 세계적인 개발자 커뮤니티 Stack Overflow의 2022년 말 기준으로 통계자료를 보았을 때, 개발자들의 개발 플랫폼으로 부동의 1위인 Linux, 사용자가 많은 Windows와 함께 Docker가 각광을 받고 있다. 참고로 도커는 Go언어로 작성되어 있다고 한다. 불과 몇년 전까지만 해도 저연차의 개발자들이나 데브옵스에 관심이 없는 개발자들은 알지 못해도 크게 문제가 없던 도커라는 기술이 왜 이렇게까지 인기가 많은 것인지, 그리고 소프트 웨어 개발자라면 Docker를 꼭 배워야 하는 것인지 궁금해졌다. Docker를 이용하는 방법 우선 무엇보다 이 기술을 공부해야 할지부터 판단해보기로 하자. 도커라는 기술을 배우고 익히더라도 사용처가 불분명하다면 시간을 들여 공부를 할 필요가 없겠다 생각이 들었기.. 2023. 4. 7.
Docker : cli를 통한 컨테이너 생성 1. 컨테이너 생성 컨테이너 생성하는 명령어는 두가지가 있다. 첫번째는 create 두번째는 run을 이용한 생성 방법이다. create는 말그대로 컨테이너를 생성만 하고 실행은 하지 않는 것이고 run은 컨테이너를 생성함과 동시에 컨테이너에 attach(접속)하는 방법이다. 또한 여러가지 옵션을 선택해서 컨테이너를 띄울 수 있다. 옵션은 여러가지가 많기 때문에 주로 사용하는 것 몇가지만 정리하도록 하겠다. -t : 표준입출력(STDOUT)을 할 수 있도록 함. 위 사진을 보면 위와 아래 모두 같은 명령어이지만 -t가 붙지 않아 컨테이너가 잘못 생성 되었음에도 오류메시지를 확인 할 수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i 만 주고 -t를 주지 않으면 위 사진과 같이 run한 상태로 아무런 입력을 할 수 없.. 2023. 1. 19.
Docker : 컨테이너 관리 -------------------------- 작성중 ------------------------------ docker는 os 위에 컨테이너를 띄워 가상 os를 이용할 수 있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이다. 필자는 windows를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docker desktop for windows 를 다운로드 받아 wsl을 이용하여 사용하는 중이다. docker desktop 다운로드 및 설치방법은 여타 다른 게시글들이 많이 존재하니 해당 게시물에서는 기억하기 위한 것들만 적어 보관하려 한다. 설치 방법: docker 공식홈페이지 https://docs.docker.com/desktop/install/windows-install/ 목록 1. 도커란 무엇일까? [1/2] 2. 도커란 무엇일까? [2/2] 3.. 2023. 1.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