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ck-end/server3

서버 환경설정 : date(TimeZone) 세팅 & zoneinfo가 없을 때 백엔드 엔지니어로서 서버를 만들고 설정을 잡는 것은 기본중의 기본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막 만1년차가 넘은 초보 개발자로써 기본을 챙기기 위해 서버에 손을 대보기 시작하는 중이다. 우선 서버를 처음으로 구성하게 되면 보통 UTC로 시간이 설정되어 있다. 하지만 필자는 한국 사람이고, 글로벌 서비스를 운영할 것은 아니므로 한국시간으로 세팅을 해주려 한다. linux에서 현재 시간을 확인하는 명령어는 date로 $> date Wed Jan 18 08:27:06 UTC 2023 위와같이 명령줄에 date를 입력하면 현재 설정되어있는 localtime을 기준으로 timezone을 출력해준다. timezone을 변경하는 방법에는 두가지가 있다. 첫번째로 /etc/localtime 이라는 링크를 삭제 후 .. 2023. 1. 19.
Cloud를 이용한 개발환경 설정: hosts 파일 이용 AWS, Ncloud, Azure 등 현재 실 서비스를 하고 있는 여러가지 Cloud기반 서비스들이 있다. 해당 서비스에 붙어 개발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 대부분 Linux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때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 ssh를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ssh (-i pem파일경로) 계정명@접속ip (-p 포트번호) # ()는 옵션사항 위의 명령어를 이용하여 생성한 인스턴트에 접속할 수 있는데, 이때, 접속을 위해 ip를 계속 확인하게 된다. 접속하기 위한 ip를 외워두고 사용해도 되지만 본인 PC의 hosts 파일을 수정하여 원하는 용어로 매핑해 등록하고 사용할 수 있다. 필자는 Windows를 사용하므로 해당 OS를 기준으로 하여 포스팅하려 한다. 먼저 hosts파일은 .. 2023. 1. 17.
vi editor vi editor는 리눅스 상에서 사용하는 가장 대중적인 텍스트 에디터이다. 리눅스 상에서 설치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 apt install vim (CentOs의 경우 yum unstall vim) 이렇게 하면 자동으로 인터넷에 연결하여 vim 에디터를 다운 받아 설치한다. vi editor에서 주로 사용하는 명령어들은 다음과 같다. *참고 vim을 이용한 무료 게임이 있어서 완전 기초용으로 할만하다. https://vim-adventures.com/ 2023. 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