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ck-end/Docker

Docker : cli를 통한 컨테이너 생성

by somlang_bba 2023. 1. 19.
728x90

1. 컨테이너 생성

 

컨테이너 생성하는 명령어는 두가지가 있다. 첫번째는 create 두번째는 run을 이용한 생성 방법이다.

create는 말그대로 컨테이너를 생성만 하고 실행은 하지 않는 것이고

run은 컨테이너를 생성함과 동시에 컨테이너에 attach(접속)하는 방법이다.

또한 여러가지 옵션을 선택해서 컨테이너를 띄울 수 있다.

 

옵션은 여러가지가 많기 때문에 주로 사용하는 것 몇가지만 정리하도록 하겠다.

 

-t : 표준입출력(STDOUT)을 할 수 있도록 함.

위 사진을 보면 위와 아래 모두 같은 명령어이지만 -t가 붙지 않아 컨테이너가 잘못 생성 되었음에도 오류메시지를 확인 할 수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i 만 주고 -t를 주지 않으면 위 사진과 같이 run한 상태로 아무런 입력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다른 터미널을 열어서 도커 상태를 확인해 보면 running 상태인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i : 대화형 컨테이너로 만듦

위 사진을 보면 -i 옵션을 주지 않아  docker start를 통해 인스턴스를 깨웠지만 안에서 구동되는 프로세스가 없으므로 바로 다시 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hostname : hostname을 설정해줌(옵션 입력안할 시 도커에서 알아서 설정)

 

--name : 컨테이너의 이름을 설정

이름 설정을 안해주면 이후 컨테이너를 선택해야할 때 container id를 입력해줘야 함. (docker start 909a335514155,docker attach 909a335514155 등)

 

-v : volumn설정 (도커내의 경로와 host의 경로를 마운트시킴)

 

728x90

'Back-end >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 : 도커란 무엇일까? [2/2]  (2) 2023.04.10
Docker : 도커란 무엇일까? [1/2]  (0) 2023.04.07
Docker : 컨테이너 관리  (0) 2023.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