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기본적으로 Linux에서 파일전송을 위해서는 scp, rcp등을 사용한다.
rsync는 scp와 rcp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파일을 전송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한 유틸리티이다.
* 변화가 있는 파일에 대한 송수신만을 수행 & 변경된 부분만을 전송(checksum이용), 파일을 압축하여 송수신하는 알고리즘
또한 rsync의 가장 많은 용도로는 백업용도가 있다. 리모트의 특정 폴더와 로컬의 특정 폴더를 마운트해두고
특정 폴더 내부의 파일에 변경점이 있다면, 변경된 파일에 대해서만 업로드/다운로드를 해주기 때문에
크론탭을 이용하여 rsync 배치를 만들어 두면 마운트한 폴더들 상의 주기적인 sync를 맞출 수 있을 뿐더러 백업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728x90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 rsync [options] source destination
option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 중 자주 사용되는 옵션은 다음과 같다.
-v: verbose 자세한 정보 출력
-r: recursively 재귀적으로 하위 디렉터리 까지 복사
-a: archive mode 압축모드 (여러가지 추가 옵션이 있지만 보통 z만 추가하면 충분)
-z: 데이타 압축
-u: 파일을 덮어쓰지 않음
-e: 보안등을 이유로 ssh의 포트를 22에서 임의의 값으로 변경했을 때 [rsync -e 'ssh -p 포트값'] 으로 사용
728x90
'Back-end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마스터] OSI 7계층 (0) | 2023.02.25 |
---|---|
[리눅스 마스터2] 자격증 시험 접수 (2) | 2023.02.24 |
Linux : vmstat, sar, top(os 상태조회) (0) | 2023.01.27 |
Linux : 파일 압축(gzip, xz, bzip2, tar, zip) (0) | 2023.01.20 |
ln 명령어: link (하드링크, 소프트링크) (0) | 2023.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