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ck-end/Linux

[리눅스 마스터2] 리눅스 배포판에 따른 패키지 관리 툴(dpkg, apt, rpm, yum 등)

by somlang_bba 2023. 3. 8.
728x90

리눅스에서는 배포판에 따라 서로 다른 패키지 관리자를 제공한다.

 

우분투로 대표되는 데비안 계열의 리눅스 배포판의 경우에는 dpkg와 apt-get이라는 패키지 관리자를 제공하며

Centos로 대표되는 레드햇 계열의 리눅스 배포판의 경우에는 rpm과 yum을 제공한다.

또한 자주 사용되지 않는 리눅스 배포인 Suse의 경우에는 YaST와 zypper를 제공한다.

 

공부를 하며 왜 두 개씩 제공을 할까 하는 의문이 있었고 이를 찾아보다가 정답을 얻어 포스팅을 한다.

 

일단 패키지 관리자는 오프라인 패키지 관리자와 온라인 패키지 관리자로 나뉜다.

 

구분 데비안 레드햇 수세
오프라인 dpkg rpm YaST
온라인 apt-get yum zypper
728x90

오프라인 패키지 관리자는 패키지 설치 명령이 들어오면 로컬 저장소에서 패키지를 먼저 찾아 설치를 시도하고 로컬 저장소에 패키지가 없는 경우 인터넷에 연결을 시도하여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고 설치한다.

 

반면, 온라인 패키지 관리자의 경우에는 패키지 설치 명령이 들어오면 온라인 저장소를 이용하여 설치를 시도하므로 인터넷에 연결이 되어 있어야 한다.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라 해도 로컬 저장소를 검색하지 않는다.

 

지난번 CentOS 최신버전을 도커 이미지에서 받아 도커를 띄웠을 때, sudo 명령어 조차도 사용이 불가했었는데, 기본적인 명령어라도 설치되지 않은 경우가 있는 듯 했다. 이는 몇 가지의 이유로 부팅에 필수적인 패키지 이외에 설치하지 않는 특성을 가진다고 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용량 및 공간 절약: 리눅스 배포판은 컴퓨터의 용량 및 저장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패키지만을 포함합니다. 이로 인해 불필요한 패키지들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디스크 공간을 낭비하지 않게 되며, 따라서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더 많아집니다.
  2. 보안: 패키지 관리자를 사용하여 필요한 패키지를 선택하여 설치하면, 불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하지 않으므로 보안에 대한 위협이 줄어듭니다.
  3. 성능: 불필요한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시스템 부하가 줄어들어 성능이 향상됩니다. 또한, 필요한 패키지만을 설치하면 메모리 사용량도 줄어들어 시스템이 더 빠르게 동작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