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ck-end/Linux16

[리눅스마스터 2급] RAID RAID는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의 약자로,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묶어서 하나의 논리적인 저장장치로 사용하는 기술이다. RAID를 사용하면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고, 더 나은 성능을 얻을 수 있다. RAID는 크게 소프트웨어 RAID와 하드웨어 RAID로 나눌 수 있다. 소프트웨어 RAID는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해서 RAID를 구성하는 방식이고 하드웨어 RAID는 별도의 RAID 컨트롤러를 이용해서 RAID를 구성하는 방식이다. RAID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방식은 다음과 같다. (시험에 자주 나오는 방식) RAID 0 (Stripe) RAID 0은 두 개 이상의 디스크에 데이터를 나누어 저장.. 2023. 2. 28.
[리눅스마스터2] ip와 서브넷마스크 리눅스 마스터2 문제를 풀다보면 네트워크 관련 지식을 많이 요하는 것 같다. 그 중 기본이라 할 수 있는 ip와 서브넷마스크에 대해서 정리하려 한다. 우리가 인터넷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ip는 보통 isp(인터넷 서비스 공급자) 업체에서 공인ip를 받아 사용하는 사설ip이다. isp -> 공유기(라우터) -> 내 pc 이런 형태로 ip주소가 뿌려진다고 보면 될 것 같다. 그래서 서로 다른 네트워크상에 있다면 ip주소가 같은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사용중인 pc의 ip 주소를 보면 대부분 아래 3개의 주소대역에 속해 있을 것이다. (지금 글을 쓰고 있는 필자의 ip 주소는 클래스 B 내에 속해 있다.) 기본적으로 클래스별 IP 대역은 다음과 같다. 클래스 A: 10.0.0.0 ~ 10.255.255.255.. 2023. 2. 27.
[리눅스마스터2] nice와 renice 리눅스에는 프로세스 우선순위를 조정하기 위한 명령어로 nice와 renice를 제공한다. nice는 프로세스 명과 함께 사용하고 renice는 프로세스 id(PID)와 함께 사용한다. 우선순위는 -19 ~ 20 까지 총 40단계가 제공되고 값이 낮을수록 높은 우선순위를 배정받는다. 우선순위가 높을수록 더 많이, 더 오래 cpu를 점유할 수 있다. * NI와 PRI 리눅스는 기본적으로 PRI를 바탕으로 우선순위를 자동계산한다. 다만 NI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값이 있다면 PRI위에 덮어씌워 우선순위를 재산정한다. 2023. 2. 26.
[리눅스 마스터] OSI 7계층 OSI 7계층은 ISO(국제표준기구)에서 정해둔 데이터 전송방식의 표준 모델이다. 총 7개의 계층으로 이루어져서 OSI7계층이라 불리는데, 사실 현대의 데이터 전송은 TCP/IP 모델을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실전에 맞는 이론이라기보단 각 계층을 나누어서 설명하기에 적합하기에 아직까지 통용되는 지식 정도라 생각된다. * tcp/ip 에서는 5~7 단계가 어플리케이션 계층으로 묶인다. OSI 7계층(전송단위) □ 1단계: 물리 계층(비트: bit) - 비트 단위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송수신하는 물리적 매체의 특성과 전송 방식을 정의합니다. □ 2단계: 데이터링크 계층(frame) - 물리 계층에서 송수신된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나누어 전송하고, 오류 검출과 복구 기능, 흐름 제어, 접근 제어 등을.. 2023. 2.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