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ck-end28

[리눅스 마스터] OSI 7계층 OSI 7계층은 ISO(국제표준기구)에서 정해둔 데이터 전송방식의 표준 모델이다. 총 7개의 계층으로 이루어져서 OSI7계층이라 불리는데, 사실 현대의 데이터 전송은 TCP/IP 모델을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실전에 맞는 이론이라기보단 각 계층을 나누어서 설명하기에 적합하기에 아직까지 통용되는 지식 정도라 생각된다. * tcp/ip 에서는 5~7 단계가 어플리케이션 계층으로 묶인다. OSI 7계층(전송단위) □ 1단계: 물리 계층(비트: bit) - 비트 단위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송수신하는 물리적 매체의 특성과 전송 방식을 정의합니다. □ 2단계: 데이터링크 계층(frame) - 물리 계층에서 송수신된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나누어 전송하고, 오류 검출과 복구 기능, 흐름 제어, 접근 제어 등을.. 2023. 2. 25.
[리눅스 마스터2] 자격증 시험 접수 리눅스 공부를 하던 중 무작정 공부만 해서는 뭣도 안되겠다 싶어서 리눅스 마스터 자격증 취득을 하기로 결심했다. 리눅스에 대해 1도 모르면서 무작정 시험 접수부터 해버렸고 다행히(?) 1차 시험은 온라인으로 진행이 되어서 오픈북마냥 인터넷을 떠돌아 다니며 정답 수집을 할 수 있는 형태였기 때문에 무난하게 통과를 했다. 하지만 문제는 2차 시험... 오프라인 시험이기 때문에 공부를 하지 않으면 아까운 내 4만 4천원이 날라간다(치킨 두마리 ㅠㅠ) 고로 앞으로 2주뒤에 치룰 시험을 준비하며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포스팅하려 한다. 현 세대는 감사하게도 chatGPT라는 혁명에 가까운 인공지능 기반 채팅이 있기에 이곳에 정보를 물어보면 쉽게 정보 수집이 가능하다. 물론 이 정보가 맞는 대답일거라는 보장은 없으.. 2023. 2. 24.
rsync : 원격지간 파일 전송 기본적으로 Linux에서 파일전송을 위해서는 scp, rcp등을 사용한다. rsync는 scp와 rcp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파일을 전송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한 유틸리티이다. * 변화가 있는 파일에 대한 송수신만을 수행 & 변경된 부분만을 전송(checksum이용), 파일을 압축하여 송수신하는 알고리즘 또한 rsync의 가장 많은 용도로는 백업용도가 있다. 리모트의 특정 폴더와 로컬의 특정 폴더를 마운트해두고 특정 폴더 내부의 파일에 변경점이 있다면, 변경된 파일에 대해서만 업로드/다운로드를 해주기 때문에 크론탭을 이용하여 rsync 배치를 만들어 두면 마운트한 폴더들 상의 주기적인 sync를 맞출 수 있을 뿐더러 백업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 rsync [options.. 2023. 2. 15.
Linux : vmstat, sar, top(os 상태조회) vmstat(Virtual Memory Statistics) vmstat 명령어를 통해 시스템이 동작하며 차지하는 프로세스, 메모리, 디스크사용량, io작업, cpu상태 등을 볼 수 있다. # interval (초)간격으로 count번 출력 $> vmstat [interval] [count] 위의 명령어로 vmstat 명령어를 수행하며 ctrl+c 를 이용해 루프를 빠져나올 수 있다. 왼쪽부터 출력하는 값에 대해 설명하자면 -- procs -- : 프로세스 r (run queue) : CPU 자원을 기다리는 실행 대기 중인 명령어의 수 → 이 수치가 높은 경우 cpu과부하가 일어나고 있다고 추측할 수 있음. b (blocked queue) : 메모리나 기타 I/O 등에 대한 자원을 기다리는 실행 대기 중.. 2023. 1.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