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nt-end26 Vue3 기초 : html의 attribute binding class 에 바인딩 했듯이 다른 태그들의 Attribute에도 뷰를 이용해서 바인딩을할 수 있다. Hello Vue! Hello Title Hello Title naver 위의 템플릿 부분에 적어둔 h1의 id 속성, a태그의 href 속성, img 태그의 src와 alt 속성 input 태그의 type 속성 등을 모두 v-bind: 를 이용해서 중간 부분의 스크립트에서 data함수에서 return해주는 값을 이용하여 채워 넣은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2022. 2. 14. Vue 기초: style 동적 바인드 App.vue의 내용 Hello Vue {{ username }}!! line-through line-through Object형태의 동적 클래스 Array 형태의 동적 클래스 기본적으로 v-bind를 이용해서 script에 명시해둔 프로퍼티를 바인딩 한다. v-bind:class="바인딩할 프로퍼티" 의 형식 v-bind는 생략 가능 class="삼항연산자" class="객체" class="배열" 의 형태로 작성도 가능하다. 2022. 2. 14. Javascript의 비동기 처리 JS는 Single Thread 환경의 언어이다. 따라서 한번에 여러가지 작업을 수행하기 어려운데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비동기 처리라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JS의 비동기 처리는 코드의 실행 순서를 보장하지 않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3가지 방식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것이 대표적인 처리 방식이다. 1. 콜백함수(Call-Back Function) -ES6이전 2. 프로미스(Promise) - ES6 3. async await - ES8 콜백함수 콜백함수는 말 그대로 함수 안에 함수를 넣어서 실행 순서를 보장시키는 방식이다. setTimeout(()=>{ console.log("1초 뒤") setTimeout(()=>{ console.log("2초 뒤") },1000) },1000) setTimeout 안에 s.. 2022. 2. 7. 제 14강 isNaN 타입 검사를 할 때 typeof 를 많이 쓰지만 숫자의 경우 typeof만을 사용하여 타입 검사를 하게 된다면 한계점이 있기 때문에 isNaN이라는 메서드를 이용하여 검사하는 것을 추천한다. 하지만 윈도우에 붙어있는 isNaN 메서드의 경우에는 오류가 있기 때문에 숫자에 대해서 타입체킹을 하기 위해서는 Number.isNaN() 을 이용하여 타입체킹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윈도우의 isNaN은 느슨한 검사 Number.isNaN은 엄격한 검사 (ES2015 부터 사용) * js에서 표현할 수 있는 정수 숫자의 최대값 = Number.MAX_SAFE_INTEGER * js는 IEEE754 표준을 이용해서 부동소수점을 표현함. https://ko.wikipedia.org/wiki/IEEE_754 2022. 2. 5.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