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ront-end26

제 13강 형변환 주의하기 "a" + 123 // 숫자와 문자열의 결합(+) => 문자열 !!"문자열" => true // 비어있지 않은 문자열을 boolean 타입으로 형변환 !!"" => false // 비어있는 문자열을 boolean 타입으로 형변환 parseInt("9.999", 10); => 9 // 문자열을 숫자형으로 형변환 (2번째 인자는 몇 진수로 표현할 것인지) 위의 형변환들을 보면 명시적인 변환과 암묵적인 변환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parseInt가 명시적, 나머지가 묵시적) 명시적 형변환은 개발자가 명시해준 것이기 때문에 다른 개발자들이 보았을 때도 명확하게 형변환을 하려한다는 의도를 쉽게 알수있다. 반면 묵시적 형변환은 JS Engine이 판단하여 형변환을 하기 때문에 개발자가 의도한대로 형변환이 이.. 2022. 2. 5.
제 12강 eqeq 줄이기 eqeq가 무엇인가? 라고 생각하고 이 글을 클릭한 사람들이 꽤나 있을것이라고 생각된다. eq 는 equality(=) 즉, 동등 연산자를 말한다. javascript에서는 == 와 ===가 있다. ==의 경우 type casting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비교연산자로 사용하기에 위험한 면이 있다. 따라서 strict equality(===)를 이용해서 값을 비교하는 것이 더욱 안전한 코드라고 볼 수 있다. 간혹, 이를 인지하고 알고있는 상태에서도 귀찮음 혹은 자신의 역량을 뽐내기 위해서 ==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를 본인 혼자하는 토이프로젝트에서는 해도 문제가 없지만 다른 팀원들과 협업하는 상황에서 사용한다면 신뢰를 주지 못하는 팀원이 될 것이다. 따라서 만약 어떤 값을 비교하는데 분명.. 2022. 2. 4.
js 기본지식 1. javascript는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션즈 코퍼레이션의 브렌던 아이크(Brendan Eich)가 mocha 라는 이름으로 개발했다가 LiveScript로 배포한 것이 인기가 없자 당시 인기를 끌었던 java의 이름을 차용하여 javascript로 변경되어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다. 2. javascript에는 keyword와 식별자(Identifier)로 이루어진 문(statement)과 연산자가 포함된 식(expression)이 있다. let a = "a" // 여기에서 let a 까지가 선언문, = "a" 가 표현식 선언문 : var, let, const, function 등으로 앞에 키워드로 선언된 것들을 선언문이라고 한다. 표현식 : 연산자와 함께 사용된 것. 실행할 수 있는 코드 단위 예.. 2021. 12. 23.
불변 Object 만들기 const obj = { a: 'a', b: 'b', c: 'c' } console.log(obj) // {a:'a',b:'b',c:'c'} obj.a = 'b' console.log(obj) // {a:'b',b:'b',c:'c'} obj = {} // error : Uncaught TypeError: Assignment to constant variable. 자바스크립트의 const를 이용하면 일반적인 변수는 변하지 않는 정적인 상태가 된다. 하지만 객체의 경우 const로 선언하더라도 객체가 가지고있는 멤버 변수의 값은 변경을 할 수 있다. let a = 'a' console.log(a) // a a = 'b'; console.log(a) // b const b = 'b'; b = 'c'; // e.. 2021. 12. 22.